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어 열풍 더 세졌다’…네팔 등 15개국에 세종학당 새로 문 열어

2007년 처음 시작해 88개국 256곳으로 확대…수강생 연 21만6000명 돌파

문체부, 올 8월에 권역별 세종학당 지원·관리 체계 강화 위한 혁신방안 발표

2024.06.24 문화체육관광부
인쇄 목록

문화체육관광부는 세종학당재단과 함께 올해 네팔과 쿠바 등 15개국에 세종학당 18개소를 새롭게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세종학당은 전 세계 88개국 256개소로 확대되는데, 이곳에서 세계인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화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지난해 동안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해 한국어를 공부한 수강생은 총 21만 6226명으로, 전년도 수강생 수 17만 8973명보다 약 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학당 한국어 우수학습자로 선정된 67개국 외국인들이 경복궁 수정전에서 집현전 왕실문화 체험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세종학당 한국어 우수학습자로 선정된 67개국 외국인들이 경복궁 수정전에서 집현전 왕실문화 체험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07년 몽골 울란바토르에 최초로 세종학당을 개설할 즈음 세종학당은 3개국 13곳, 수강생 연간 740명의 규모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2년 세종학당재단의 출범으로 한국어 확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한 결과, 지난해에는 수강생이 21만 6000명을 돌파했다.

특히 이번 신규 세종학당 공모에서는 각국의 한국어 학습 열기를 입증하듯 40개국 97개 기관이 신청해 최근 5년 동안 가장 높은 경쟁률인 5.4대 1을 기록했다.

이에 한국어 교육과 국제문화교류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세종학당 지정심사위원회는 4개월에 걸쳐 서류 심사와 현지 실사, 최종 심사를 면밀히 진행해 운영 역량이 우수한 18곳을 최종 선정했다.

이중 현재 세종학당이 없는 국가 중에서 올해는 네팔과 쿠바가 처음으로 지정됐다.

권역/국가별 신규 지정 개소(밑줄은 현재 세종학당 없는 국가 중 신규 지정)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권역/국가별 신규 지정 개소(밑줄은 현재 세종학당 없는 국가 중 신규 지정)

먼저 네팔은 고용허가제 송출 국가로 해마다 급증하는 한국어 학습 수요보다 현지 학습 여건이 다소 미흡한 곳이었는데 수도인 카트만두에 세종학당이 지정된 만큼 체계적으로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확산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우리나라와 수교한 쿠바는 다양한 문화 및 인적 교류가 기대되는 나라다.

쿠바 아바나에 최초로 지정된 세종학당은 한국어 확산의 지평을 넓히고, 특히 한국어 학습 열기가 높은 중남미 지역에서 한국어를 통한 문화교류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올해 새롭게 지정된 세종학당 18곳은 업무위탁계약 체결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6개월 동안 시범 운영을 한 뒤 내년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전 세계 세종학당 현황(2024년 6월 현재)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전 세계 세종학당 현황(2024년 6월 현재)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급증하는 세종학당 수강생 수와 세종학당 신규 지정 공모 경쟁률을 보면 한국어 학습 열기가 뜨겁다”며 “오는 8월에 권역별 세종학당 지원·관리 체계 강화계획을 담은 세종학당 혁신방안을 발표해 지속가능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확산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체부는 한국어 수요에 맞춰 세종학당을 확대하는 만큼 기존 세종학당의 운영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점검해 개선 방안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운영이 미흡하거나 정상적인 운영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은 과감히 지정을 해제하는 등 세종학당이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문의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국어정책과(044-203-253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