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병원비 걱정 없는 든든한 나라’ 여정은 계속된다

[문재인정부 4년] 공공의료 및 의료보장성 강화

2021.05.14 정책브리핑 신주희
인쇄 목록

문재인정부는 지난 4년 동안 지역 공공의료 인프라와 건강보험 정부지원, 정신건강 분야 투자 등을 늘리면서 국민들의 건강관리에 집중해왔다. 

‘문재인케어’로 대표되는 이러한 정책들을 바탕으로 지난해 12월까지 공공의료기관 230개소를 확충했고, 권역외상센터 15개소와 권역심뇌혈관센터 14개소를 확대 설치했다.

또한 건강보험 보장성도 넓혀 선택진료비 및 2·3인실 입원비 등 3대 비급여를 해소했으며 초음파·MRI 등 의학적 비급여도 단계적으로 급여화하는 중이다.

정부의 이와 같은 건강보험 보장강화 정책을 통해 2018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약 3700만명의 국민이 의료비 경감 혜택을 받아 약 9조 2000억원의 가계 의료비 부담을 덜게 되었다.

2017년 8월 9일에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을 찾아 건강보험 보장강화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2017년 8월 9일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을 찾아 건강보험 보장강화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 정책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발표하며 “아픈데도 돈이 없어서 치료를 제대로 못 받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른바 ‘문재인케어’로 알려진 이 정책으로 건강보험의 적용범위는 크게 늘어나면서 4대 중증질환자 등에 제한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된 초음파는 상복부와 하복부, 비뇨기 그리고 올해 4월에는 흉부로까지 확대됐다.

또한 MRI 건강보험도 2018년 10월 뇌와 뇌혈관에 이어 2019년 5월에는 두경부(눈)에, 같은 해 11월에는 흉부·복부·전신 등으로 넓혀졌다.

특히 국민 부담이 큰 3대 비급여 부담 해소를 위해 2018년 1월에 선택진료비를 폐지했고, 같은 해 7월에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2·3인실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국민 의료비 부담을 크게 줄였다. 

중증환자의 의료비 부담은 대책 시행 전과 대비해 1/2~1/4 수준으로 낮춰졌으며, 건강보험 보장률 또한 2019년 종합병원급 이상 기준으로 68.1%를 차지하는 등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국민 의료비 총지출 중 국가부담 비중도 증가했는데, 2016년 59.0%였던 국가부담 비중은 2019년에 잠정치 60.8%를 기록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혜택 및 상급병원 건강보험 보장률 확대.

문재인정부는 건강보험의 혜택을 어르신과 아동, 여성 등 연령별·대상별 특성에 맞춰 더욱 확대하고 있다.

먼저 어르신의 경우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틀니와 2018년 7월 치과 임플란트의 본인부담률을 50%에서 30%로 낮춘 결과, 틀니 환자 의료비 부담은 평균 65만원에서 39만원으로, 임플란트는 62만원에서 37만원으로 줄어들었다.

또 2017년 10월에는 기존 10~20%였던 15세 이하 아동의 입원진료비 본인부담을 5%로 낮췄고, 12세 이하 아동의 충치치료에도 건강보험을 적용해 평균 10만원이었던 부담금이 2019년 1월부터 2만 5000원으로 줄었다.

여성에게는 2017년 10월부터 난임시술비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본인부담은 30%로 낮아졌으며, 신선배아 지원 횟수는 기존 4회에서 7회로 늘리며 연령 제한도 폐지했다.

특히 2018년 7월에 소득하위 50%를 대상으로 재난적 의료비 지원을 제도화하고 확대했는데, 입원의료비와 암·희귀난치질환 등 고액 외래의료비는 소득에 따라 비급여를 적용해 본인부담액을 최대 30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은 2019년 10월부터 시각장애인용 보조기기인 흰 지팡이 급여기준액을 1만 4000원에서 2만 5000원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저시력 보조 안경 내구연한을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고, 돋보기·망원경 급여 지급 신청 때 검수확인서 제출을 생략하는 등 기타 급여 절차도 개선·간소화했다.

2020년 6월에는 건강주치의 2단계 시범사업을 실시했고 공공어린이재활병원센터도 지속적으로 선정 중이며,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 및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도 점차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9년 5월 7일 오전 금천구 치매안심센터를 방문, 치매 어르신들과 함께 종이접기로 카네이션을 만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9년 5월 7일 오전 서울 금천구 치매안심센터를 방문, 치매 어르신들과 함께 종이접기로 카네이션을 만들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한편 정부는 2017년 9월 18일 치매국가책임제를 본격 시행한 이래 치매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의료지원,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등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매안심센터를 통한 치매통합서비스 제공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의료지원 강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 등 종합적 치매 지원 체계를 구축해 왔다.

이러한 치매환자 돌봄 부담 완화 정책으로 전국 256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가 들어섰고, 이 곳에서는 상담과 검진, 1:1 사례관리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으로 지난해 12월까지 총 368만명이 센터를 이용했다.

또 중증치매환자에게는 건강보험 산정특례를 적용해 본인부담률을 10%로 대폭 낮췄고 치매 검사 비용에 건강보험을 적용했으며 치매 환자 1인당 의료비 본인부담금도 2017년 87만원에서 2020년 75만원으로 경감했다.

이와 함께 치매환자 가족의 지원을 확대하고자 올해 안에 치매 환자를 돌봐주는 주야간보호기관을 88곳에서 200곳까지 확충하고 하반기부터는 치매가족휴가제를 6일에서 8일로 늘리기로 했다.

경증치매환자는 장기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인지지원등급’도 신설했으며,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 차원의 중장기 연구에 총 1987억 원을 투입해 2028년까지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중증치매질환자 의료비 본인부담금 경감 등

정부는 올해 남은 기간에도 ‘병원비 걱정없는 든든한 나라’의 실현을 위해 ‘문재인케어’를 차질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모든 국민이 의료비 걱정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도록,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 정책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중심으로 병원비 걱정 없는 든든한 나라로 만들기 위한 여정은 계속 된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