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정월대보름] ‘달’과 클래식…음악 속에 비친 달

[클래식에 빠지다] ④ 달 밝은 밤에 취하기 좋은 클래식 음악들

2021.02.26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인쇄 목록

1950년대 말, 러시아에서는 알렉산더 스크리아빈(A.Scriabin)의 ‘The Poem of Ecstasy(Le Poeme de l'extase)’가 뉴스와 함께 흘러나오고 있었다.

지금은 러시아 코로나 백신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세계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의 성공을 자축하는 뉴스였는데, 스크리아빈은 자신을 우주와 동일시한 러시아의 음악가이자 니체에 심취해있던 철학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최초 인공위성 성공에 자극을 받은 미국의 노력으로 1969년 달에 도착하는 혁명을 인류가 이루어 냈을 때, 세계는 또 다른 개혁의 물줄기에 있었다. 

냉전시대 대립과 적대적이던 국가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히피문화가 태동하고 있었고, 이에 영향을 받은 대중문화계는 팝 아트의 앤디워홀(Andy Warhol), 음악에서는 비틀즈(The Beatles)와 롤링스톤즈(The Rolling Stones) 같은 슈퍼스타들이 탄생했다.

또한 인종차별이 심했던 시절 흑인음악 시장의 점진적 확대로 레이 찰스(Ray Charles)와 제임스 브라운(James Brown) 등 소울뮤직(Soul Music)의 대가들도 고개를 들고 있었다.

클래식 음악계도 번스타인(L.Bernstein)의 아이디어로 보수적이고 상류층을 위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TV와 청소년 음악회(1958~1972년)를 통해 대중과 쉽게 소통하고 있었다.

◆ 예술 속 ‘달’과 인류

망원경을 통해 최초로 달의 모습을 제대로 본 갈릴레오의 발견 이후 인류의 혁명은 달과 괘를 같이 해오고 있다.

특히 달은 오랜 시간 동안 인류에게 풍요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옛부터 설은 가족들과 함께 보내지만 정월대보름은 이웃과 함께하는 풍습이었다.

달은 혼자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이웃과 함께해야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어쩌면 우리 DNA에 각인되어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서울시 종로구 낙산 위로 녹색과 흰색을 띤 대보름달이 떠오르고 있다.
서울시 종로구 낙산 위로 녹색과 흰색을 띤 대보름달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세계 4대 종교가 탄생하기 전부터 고대인류가 달을 숭배했었던 기록은 고고학적 증거들을 통해 알려져 있다. 구약성경에도 이스라엘의 우상숭배에 대해 기록이 되어있는데 그 대상이 달이었다고 한다.

무속신앙이 널리 퍼져있는 일본에서는 무로마치시대부터 에도시대 말기에 서민생활을 기조로 제작된 회화의 한 양식인 ‘우키요에’ 작품에도 달이 종종 등장하는데, 대표적 작가 안도 히로시게의 작품에서 특히 소재로 많이 쓰이곤 했다.

또한 우끼요에 등 자포니즘의 영향을 받은 후기인상파 미술가 반 고흐(Van Gogh)의 작품 ‘별이 빛나는 밤에’를 보면 물결치는 듯한 달의 모습에서 밝고 강렬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문학에서는 두보와 함께 한시(漢詩)의 거성인 이백이 달을 많이 사랑했다고 전해지는데, 그의 시 ‘월하독작(月下獨酌)’을 보면 달을 의인화하여 친구처럼 묘사하고 있다.

고전인 서머셋 몸(Somerset Maugham)의 ‘달과 6펜스’에서도 달은 이상, 6펜스는 현실을 뜻하고 있는 것처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달이 주는 상징적인 느낌은 미술과 문학, 음악을 통해 우리에게 무한한 영감과 아름다움으로 다가온다.

◆ 음악 속의 달

이번 회에서는 정월대보름을 맞이해 달을 소재로 또는 영감을 받아 작곡된 음악 중 몇 가지를 소개해보려 한다.

먼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베토벤의 소나타 ‘월광’을 떠올릴 수 있겠는데, 이는 베토벤 사후 시인이자 평론가인 렐슈타프(L.Rellstab)에 의해 제목이 붙여졌기 때문에 작곡가의 의도가 꼭 달과 관련되어있다고 예상하기는 어렵다.

하이든의 오페라 부파(Opera buffa) ‘달의 세계(IL MONDO DELLA LUNA)’는 그 시대 달과 우주에 대한 인식과 상상력이 어땠는지 보여주는 재미난 작품으로, 현대에서는 무대와 복장을 요즘 시대에 맞게 재해석해 공연에 올려지고 있다.

가곡의 왕 슈베르트도 ‘달에 부침(An den Mond)’이라는 아름다운 곡이 있는데, 이 곡은 하인리히 홀티(Heinrich Holty)의 시를 가사로 자신의 첫사랑 테레사를 생각하면서 작곡한 곡으로 알려졌다.

다음으로 안톤 드보르작(A.Dvorak)의 오페라 ‘루살카(Rousalka)’ 중 1막에 흐르는 아리아 ‘달의 노래’로, 호수에 살고 있는 물의 요정 루살카가 인간왕자를 사랑하면서 벌어지는 가슴 아픈 이야기다.

특히 ‘달의 노래’ 아리아에는 고통과 슬픔, 기쁨과 소망 등의 여러 감정들이 녹아 들어있어서 종종 CF 배경음악이나 첼로, 바이올린 등 기악곡으로도 편곡되어 연주되고 있다.

끝으로 클로드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Bergamasque) 3번째곡 ‘달빛(Clair de Lune)’은 대중적으로 제일 많이 알려진 곡 중 하나로, 드뷔시의 이탈리아 유학시절 인상주의 운동의 영향을 받아 쓰여진 곡이다.

이 곡은 어둡고 조용한 밤 호수에 달이 환하게 떠오르고 돌 하나가 떨어지자 빛이 서서히 넓게 퍼진 후 다시 잔잔해지는 듯한 느낌을 주는데, 개인적으로 클로드 모네(C.Monet)가 살았던 지베르니(Giverny)를 방문했을 때 그가 수련을 그렸던 곳을 떠오르게 한다.

2015년 8월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문 앞에서 열린 유라시아 친선특급 폐막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를 하고 있다.
2015년 8월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문 앞에서 열린 유라시아 친선특급 폐막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를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몇 해 전 시카고 미술관(Chicago Institute of Art)에서 우연히 달 항아리 도자기를 보았다. 

신인상주의 미술을 대표하는 프랑스의 화가 조르주 쇠라(Georges Pierre Seurat)의 멋진 그림을 보고 싶어서 갔었던 곳에서 1층전시관에 놓여있는 달 항아리를 멍하니 넋 놓고 보았던 기억이 나는데, 자세히 보니 권대섭 선생님의 작품이었다.

세계적인 미술관에 우리나라 작가의 도예작품을 보는 것도 생경했지만, 우유빛깔에 달처럼 살짝 기운 항아리의 모습은 아무 생각 없이 오묘하게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었다.

달은 우리에게 이런 존재이지 않을까?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에 빠져서 소원을 말하고 싶게 하는 거부할 수 없는 힘이 있는 듯 하다.

☞ 추천음반

슈베르트의 가곡은 전반적으로 정석적인 연주를 들려주는 독일의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Dietrich Fischer-Dieskau)의 음반들을 꼽고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이안 보스트리지(Ian Bostridge)의 목소리로 슈베르트의 ‘달에게(An den Mond)’를 들어보시길 추천한다. 여린 듯 감성 있고 깨끗한 그의 목소리가 곡의 분위기와도 잘 맞는 듯하다.

오페라 루살카의 ‘달의 노래’ 아리아는 드보르작과 같은 체코 출신 소프라노 루치아 포프(Lucia Popp)를 권하고, 드뷔시의 ‘달빛(Clair de Lune)’은 여러 좋은 연주들이 많지만 개인적으로 백건우 선생님의 깊은 연주를 들었을 때 좀더 상상력을 자극 받았다.

더불어 오케스트라 버전도 좋은데, 프랑스 음악의 대가 샤를 뒤투와(Charles Dutoit)와 몬트리올필하모닉의 연주도 함께 추천한다.

끝으로 클래식 곡은 아니지만 베를린 필하모닉의 12명의 첼리스트가 멋지게 연주한 재즈 스탠더드 ‘달빛 세레나데(Moonlight Serenade)’도 달 밝은 밤에 취하기 좋은 음악이다.

모쪼록 코로나 시기에 이웃과 함께하기는 힘들겠지만 밝은 달을 보며 각자의 소원과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는 정월대보름이 되었으면 한다.

물리학적으로(미세한 차이지만) 지구에서의 시간은 달에서의 시간보다 느리게 흐른다는데, 한번 쯤 느긋한 이백의 마음으로 달을 벗삼아 음악에 취해보시기를 권해본다.

김상균

◆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비엔나 국립음대와 클리블랜드 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이 후 Memphis 심포니, Chicago civic오케스트라, Ohio필하모닉 악장 등을 역임하고 London 심포니, Royal Flemisch 심포니 오디션선발 및 국내외 악장, 솔리스트, 챔버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eigenartig@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